3-5. Networks 썸네일형 리스트형 promiscuous mode 란? TCP/IP 프로토콜이 설계 될때 datagram 자체가 전혀 암호화 하지 않고 전송되게 되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네트웍 상을 이동하는 패킷들을 모아서 순서에 맞게 재조합을 하면 원래의 데이타를 얻을 수가 있죠.. 이러한 방법을 sniffing이라고 합니다. 킁킁거리다.. 라는 뜻을 가지구요.. 이렇게 되면, 원격 호스트에서 접속시 아이디랑, 비번을 가로챌 수가 있겠죠? 이것은 이더넷 상에서 데이타를 여러호스트를 대상으로 소스 호스트에서 뿌려버립니다. 그럼.. 각 호스트들은 자신의 데이타가 아니면 그냥 흘려보내고, 자신의 데이타면 그것을 받아서 어떤 일을 하게 됩니다. 원래 시스템은 기본으로 자기것만 받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스니퍼를 돌리게 되면 자신의 시스템의 인터페이스가 열리고, 아무.. 더보기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